ICPC 2019 서울 리저널 본선을 미러로 참가하고 난 후에, 미러에 같이 팀으로 참가했던 백진언(breakun)님이랑 같이 저녁을 먹으며 이런저런 이야기를 했었다. 어쩌다가 직장인 그랜드마스터(레드코더)를 목표로 같이 일요일에 모여서 꾸준히 공부하면 좋지 않을까 하는 것까지 이야기가 흘러갔고 이게 판이 커져서 head breaker(문제 풀다 뚝배기 깨지는 모임이라는 뜻)라는 모임이 되었다. 매주 모이면 너무 힘드니 2~3주마다 한 번씩 오프라인으로 모여서 아주 어려운 문제를 긴 시간을 들여 고민하는 종류의 모임을 하는 방향으로 정해졌고, 11월 17일 첫 모임을 가졌다. 귀찮아서 미루다보니 정리가 좀 늦어진 감이 있는데 아무튼 지금이라도 정리해둔다. 참가자: 남현욱(jwvg0425), 백진언(bre..
https://codeforces.com/profile/haskell_brooks_curry 이 계정도 퍼플 찍는 거 목표로 슬슬 연습해야 할 것 같아서 풀기 시작. 하스켈은 문제 푸는 기본 템플릿 형태를 어떻게 해야하나 고민을 좀 많이 했는데 일단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정했다. input - output - solve 세 가지를 구현하는 형태인데 이게 그나마 젤 편한 듯. solve가 튜플을 인자로 받아야하는게 쪼끔 불만이긴 한데 더 나은 방법을 잘 모르겠다. 일단 이대로 쓰고 더 나은 방법 생각나면 고치자 https://codeforces.com/group/DEuKcKDfls/contest/227543 주말 스터디에서 진행했던 셋을 갖고 연습을 하기로 했다. 일단 먼 옛날에 했던 1라운드 문제부터 하..